일반 게시판

이팝나무의 由來

황령 2015. 8. 23. 09:46

    

 

 

    

 

이팝나무의 전설

 

깊은 산골 오막살이에 가난한 어머니와 아이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머니가 인근 마을의 집집을 다니면서 품 일을 해 주고
음식 몇 점씩을 얻어다가 아이들에게 먹이면서 살았습니다만,
어머니가 얻어오는 음식은 언제나 보리밥과 수수밥 조밥 또는 감자,
고구마 등 산비탈의 뙈기밭에서 나는(생산) 거친 것들뿐이었습니다.

마을 앞의 커다란 산을 넘어서 먼 곳에는 넓은 들이 있다는데,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벼(쌀)농사를 지어서 부드럽고
향기로운 쌀밥을 먹고산다고 했습니다.

 

어느 날 어머니가, “쌀밥을 얻어다가 아이들에게 먹여야겠다.”
생각을 하고서는 날이 새기도 전에, 어두운 새벽길을 걸어서
높은 고개를 넘고 걷고 또 걸어서 넓은 들에
있는 마을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고 어느 집에서 온종일 열심히 일을 해주고는
하얀 쌀밥 한 덩이를 얻었습니다.

밥알 하나를 떼어서 입에 넣어보니 부드러운 감촉과
함께 향기로움이 입안에 가득 찼습니다. “아~아 참으로 맛있구나.
아이들에게 이 밥을 먹이면 얼마나 좋아들 할까?”
생각을 하면서 집을 향해 부지런히 걸었습니다.

이내 해는 지고 깜깜한 밤길을 걸어서 고개 마루에 이르자
땅딸보 산적(도둑놈)이 나타났습니다. “너는 누구냐
?”

“고개 넘어 산골마을에 사는 가난한 어머니랍니다.”

“머리에 이고 있는 게 무엇이냐?”

“쌀밥입니다.”

“호~오, 달고 향기롭다는 쌀밥이라는 것이냐?
그것을 내 놓아라. 그러면 해치지 않겠다.”

“안 됩니다. 우리 애들한테 갖다 먹여야 해요.”
머리에 인 밥 소쿠리를 땅딸보의 손에 닿지 않게
높이 치켜 올려 들었습니다.

 

땅딸보가 그것을 빼앗으려고 실랑이질을 하자,
어머니의 치마가 벗겨지고 이내 속곳(옛 시절 여자들의 속옷,
오늘날의 팬티에 해당함)마저 벗겨져서 맨몸이 들어났습니다.
그러나 어머니는 옷을 추스르지도 못했습니다.
옷을 추스르려고 손을 내리면 쌀밥을 빼앗길 테니까요.

어머니의 옷이 벗겨지고 맨몸이 드러나자
땅딸보가 음흉한 생각을 했습니다.

“쌀밥을 내놓지 않겠다면 네 몸을 취해야겠다.”
바지를 벗어 던지고서는 어머니의 몸에 못된
짓(性交행위)을 하려고 덤벼들었습니다.

“아~ 아 안 돼요 안 돼! 하느님 저를 도와주세요.”
어머니가 안타까운 비명을 질렀습니다.

 

하늘에서 이 광경을 내려다보시던 하느님이 진노하셨습니다.
“저 못된 것들을 마땅히 징벌하리라.” 폭우
(暴雨-사나운 비바람)를
내리시고벼락을 벼락을 쳐서 땅딸보와 어머니를 함께 죽이셨습니다.

 

어머니는 땅딸보의 못된 짓을 감내(堪耐-참고 견딤)하고
벼락을 맞아 죽으면서도 머리위로 높이 치켜
올렸던 쌀밥소쿠리를 내려놓지 않았습니다.
사랑하는 아이들에게 꼭 먹여야만하겠다는
간절한 사랑의 마음에서였겠지요?

 

비바람이 멎고 날이 개이자 땅딸보는 죽어서 바위가
되어있었고 어머니는 키가 훌쩍 큰 나무가 되어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의 머리위로 높이 치켜들었던
쌀 밥알들은 하얀 꽃이 되었는데, 그 자잘한 꽃송이들은
마치 하얀 쌀밥알맹이 모양이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 나무를 이팝나무(이밥 즉 쌀밥나무)라고
이름 지어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일반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不合 七不交   (0) 2016.01.29
힘들때 보는 비밀노트   (0) 2015.10.15
인간만큼 고독한 존재는 없다   (0) 2015.08.03
하버드대 수석 졸업한 한국인 진권용씨  (0) 2015.06.09
참 아름다운 우정  (0) 2015.05.13